유도분만
유도분만은 출산 예정일이 지났는데도 진통이 없거나 혹은 태아가 너무 커 산모가 많이 힘들 때 촉진제를 투여해서 분만하는 것을 말해요. 그래서 오늘은 유도분만 시 촉진제는 안전한지, 분만은 어떻게 진행되는지 알아볼게요~
유도분만을 하는 이유는?
예정일이 지나도 진통이 없을 때. 출산 예정일이 1~2주 이상 지났는데도 진통이 없으면 당연히 태아가 너무 커지겠죠. 그럼 분만에 위험이 따를 수 있겠죠. 또 태반이 점점 퇴화해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해 태아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도 있다고 해요. 이럴 때는 자궁 수축을 유도하는 옥시토신이라는 촉진제를 투여한다고 해요. 그리고 이밖에 유도분만을 해야 하는 경우에서 진통이 오기 전에 이미 양수가 터졌거나, 산모가 임신중독증이나 고혈압, 신장 질환이 있을 때는 조속히 분만해야 하기 때문에 권유한다고 해요.
분만 과정이 자연분만과 같아요. 자궁경부가 열리려면 먼저 자궁구가 부드러워져야 하는데요. 진통도 없고 자궁구가 열리지 않은 경우에는 우선 경구약이나 질정제를 투여해 인위적으로 자궁구를 먼저 부드럽게 만든 다음 촉진제를 투여한다고 해요. 촉진제를 투여하게 되면 머지않아 진통이 시작되며, 이후의 과정은 자연분만과 차이가 없다고 해요. 그러나 촉진제를 투여한 뒤에도 자궁구가 열리지 않으면 산모와 태아 상태를 확인한 뒤 다시 촉진제를 투여해야 하는 경우도 생길 수 있는데요. 이렇게 되면 진통시간이 오래 걸리게 돼서 많이 힘들어지죠.
유도분만을 못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자궁 수술을 한 적이 있으면 유도분만을 할 수 없는데 이유는 촉진제를 투여하면 자궁이 무리하게 수축해 자칫 자궁 파열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해요. 또 태아 머리가 산모의 골반보다 크거나 회음부에 전염성 질병이 있을 경우에도 유도분만은 할 수 없다고 해요.
주의할 점
혈압이 떨어질 수도 있어요. 촉진제가 산모 몸에 들어가면 자궁 수축이 강하게 일어나는데 이때 태아에게 자극이 갈 수 있지만 걱정할 정도는 아니라고 해요. 진통 유도 전에 먼저 자궁경관과 산모의 몸 상태를 잘 살펴서 태아 머리와 산도 크기 등에 무리가 없는지 판단한 다음 촉진제를 투여하기 때문이라고 해요. 그런데 간혹 드물게 나타나는 현상 중 혈압이 떨어지거나 소변이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몸에 쌓여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는데 태아와 산모에게 이상 증세가 나타날 때는 신속하게 촉진제를 중단한다고 합니다.
심한 진통으로 위험에 빠질 수 있어요. 좋은 날에 출산하려고 유도분만을 하는 경우도 있는데 자궁 수축이 과도하게 진행되면 태아가 위험해질 수 있다고 해요.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못해 태아의 심장박동 수가 떨어질 수 있고, 태아가 나오기도 전에 태반이 자궁에서 떨어져 과다 출혈이 일어날 수도 있다고 해요. 또 산모가 산후 이완성 출혈을 일으킬 수도 있다고 해요. 이는 자궁 수축이 일어날 때 자궁의 혈관도 같이 수축되며 출혈이 멈춰야 하는데, 자궁 수축이 미약해 태반이 분리된 자궁 부위의 혈관이 수축하지 않아서 과다 출혈을 일으키는 것이라고 해요.
추가 비용을 내야 해요. 자연분만 비용에 촉진제 가격이 추가되는 것이죠. 그런데 촉진제는 건강보험이 적용되기 때문에 추가 비용을 따로 내지는 않는다고 하네요. 그러나 자궁벽을 부드럽게 해주는 질정제를 넣었을 때는 추가 비용을 내야 한다고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