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육아/육아 필수정보232

출산 후 관리는 이렇게 하세요.(5일째~6일째) 출산 후 축 처진 뱃살과 아직 줄어들지 않는 몸무게로 혹시 많이 괴로우신가요.. 네 그 심정 저도 정말 잘 아는데요. 저도 정말 너무 힘들었어요. 저는 사실 살이 잘 찌지 않는 체질이어서 먹는 양에 비해 살이 잘 찌지 않았죠. 하지만 두 아이를 낳고 나니 몸이 많이 변하더라고요. 허리라인이 없어지고 뱃살은 축 쳐져서 정말 보기 싫을 정도였어요. 몸을 보고 있으면 많이 우울했어요. 저는 모유수유를 하느라 식단관리를 하는 것은 무리였어요. 그래서 원래 몸으로 돌아가기 위해 아이 잘 때 꾸준히 요가를 했었는데 두 달 정도 했을까요. 정말 너무너무 피곤해서 더 이상은 안 되겠더라고요. 세 달째 되니까 강도도 더 쌔지고 힘들어져서 요가 한 삼십 분 했나? 하다가 아 너무 힘들다 하고 누었는데 그대로 잠들었던 거 .. 육아/육아 필수정보 2021. 4. 25.
산후조리는 이렇게 하세요 (출산 3일~4일째) 산후조리를 잘해야 나중에 우리 엄마가 아프지 않아요. 아이가 소중한 만큼 엄마의 마음과 육체를 아이만큼이나 돌봐줘야 해요. 최선을 다해 엄마의 몸을 돌봐주세요. 산후 3일째 젖이 돌면 마사지로 울혈을 풀어주세요. 자궁 내 점막이 새로 생기기 시작하면서 산후통(배앓이)이 가라앉고, 회음통 역시 줄어들 거예요. 맥박과 호흡이 정상으로 돌아오고 움직이는 것도 자연스러워지게 되죠. 자연분만한 산모는 퇴원이 가능하고 집으로 돌아와서는 편안히 쉬는 것이 좋아요. 물론 쉽지 않겠죠. 아이를 돌봐야 하니까요. 그러니 아이가 잘 때 우리 엄마는 같이 자는 것을 추천해요. 또 오로 처리와 좌욕은 집에서도 부지런히 하는 것이 좋고 또 피로가 몰려오고 식은땀을 흘려 몸이 불쾌해지기 쉬우니 가볍게 샤워한 뒤 잠을 자는 것도 좋.. 육아/육아 필수정보 2021. 4. 24.
산후조리는 이렇게 하세요 (출산 당일 ~2일째) 출산을 한 당일, 얼떨떨하기도 하고 실감이 안 나시죠. 많이 기쁘기도 하지만 많이 힘드실 거예요. 그래서 오늘은 출산 후 산후조리 방법과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해요. 42일 산후조리 스케줄 아기 낳은 당일과 그 다음날, 또 이번 주와 다음 주에 몸조리를 어떻게 했는지에 따라 차이가 느껴질 텐데요. 아기 낳고 6주간의 산후조리방법과 주의사항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출산 당일. 이불을 덮고 안정을 취하세요. 자궁 수축으로 인해 산후통이 생기고, 출산 후 3시간 정도 지나면 적색 오로가 나오기 시작해요. 체중은 5~6kg 줄어들지만 몸이 붓고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으슬으슬 오한을 느낄 거예요. 자연 분만한 경우 출산으로 체력이 바닥나고 몹시 허기진 상태이기 때문에 식욕이 없더라도 식사를 하는 것이 좋아.. 육아/육아 필수정보 2021. 4. 23.
브이백 성공하기! 첫째 아기를 제왕절개로 낳았기 때문에 둘째도 당연히 제왕절개해야 한다는 생각은 이제 틀린 생각이 되어버렸지요. 나날이 성공 사례가 늘고 있는 브이백 바로 알아봅시다! 브이백의 모든 것! 브이백은 무엇일까요? 브이백(VBAC)이란 '제왕절개 수술 후의 자연분만'을 줄임말이라고 해요. 예전에는 제왕절개 경험이 있는 산모가 자연분만할 경우 자궁이 파열되는 경우가 많았었죠. 하지만 이제는 세로로 절개하는 종절개 대신 가로로 절개하는 횡정개를 도입한 이후 첫째를 제왕절개로 낳았더라도 둘째를 자연분만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해요. 제왕절개 수술 후 어느 정도 기간이 지나야 가능할까요? 기간에 대한 부분은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하여 조금 갈리는데요. 1년 이상의 간격을 두는 것이 자궁 파열 위험이 적다는 주.. 육아/육아 필수정보 2021. 4. 22.
제왕절개 모든 산모가 자연분만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죠. 거대아나 저체중아, 혹은 다태아 같은 산모 또는 태아에게도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제왕절개를 하는 것이 더 안전하고 건강하게 아기를 낳을 수 있어요. 제왕절개하는 경우 역아이거나 옆으로 누워 있는 경우. 임신 36~37주가 지나도 역아이거나 태아가 옆으로 누워 있다면 제왕절개로 분만해야 해요. 엉덩이나 발이 머리보다 먼저 나올 경우 태아가 머리나 목을 다칠 수 있고, 머리가 산도를 통과할 때 탯줄이 머리와 골반 사이에 끼어 일시적으로 산소공급이 중단될 수 있기 때문이에요. 태아 머리가 산도에 끼면 뇌 손상을 입을 수 있고, 신경마비 등의 후유증을 겪을 수도 있어요. 심한 경우 태아가 사망에 이를 수 있으니 매우 위험하겠죠. 태반이 자궁 입구를 막고 있는 경.. 육아/육아 필수정보 2021. 4.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