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는 꼭 뱉어야 할까?
가래는 왜 생기는 것일까요?
가래는 호흡기에 생기는 끈적한 액체로, 호흡기에 나쁜 것이 들어왔을 때 우리 몸이 물청소하듯이 나쁜 것을 물기에 묻혀 내보내는 역할을 해요. 호흡기에 들어온 나쁜 것은 그냥 쓸어낼 수는 없다고 해요. 그래서 가래를 만들어 내보낸다고 해요. 그러니 가래는 우리 몸에 필요하고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익한 것이라고 할 수 있죠.
가래는 꼭 뱉어야만 하는 것일까요?
가래는 기도에서 만들어지고 목구멍에서 나와요. 가래는 보통 자신도 모르게 삼키게 되고 위로 넘어가서 변으로 나오는 것이 보통 경로예요. 하지만 감기에 걸려서 가래 양이 평소보다 많이 나오면 목에 무언가 걸린 듯한 느낌에 불편한 느낌을 주게 되죠. 그래서 보통 뱉게 되는데 우리 아이들은 가래를 뱉을 줄 몰라서 그냥 삼키게 되죠. 그렇다고 우리 엄마 아빠가 너무 걱정하실 필요는 없어요. 가래를 꼭 뱉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니까요.
가래를 스스로 뱉을 수 있으면?
아이들이 가래를 뱉을 수 있게 된다면 뱉는 것이 좋을까요? 아이들은 개래를 많이 삼키면 속이 불편해져요. 소화가 안되고 심하면 토도 하게 되거든요. 그렇기에 가래를 뱉을 수만 있다면 뱉는 것이 좋아요. 그렇다고 가래를 뱉을 줄 모른다고 일부러 가래를 뽑을 필요는 없어요. 하지만 특수한 경우에 가래를 뽑기도 하는데 아이가 수술 후 마취에서 덜 깨어나 혼자서 뱉을 수 없을 경우에 한다고 해요.
가래가 심할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가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요.
˙ 물을 많이 마십니다.
가래의 주 성분은 물인데 밀가루 반죽을 예로 들면 밀가루 반죽할 때 물을 많이 넣으면 반죽이 묽어지겠죠? 이처럼 아이에게 물을 많이 먹이면 가래를 묽게 만들 수 있어요. 특히 감기에 걸린 아이들에게는 수분이 평소보다 많이 필요해요. 그러니 내 아이가 감기에 걸렸다면 평소보다 수분 보충에 더 신경을 쓰시는 것이 좋아요. 물을 잘 안 먹을 땐 희석한 과일 주스도 도움이 된다고 하네요.
˙ 가습기를 사용하세요.
가습기로 습도를 조절해주세요. 아이가 감기에 걸렸다면 평소보다 습도를 높이는 것이 좋아요. 건조하면 가래가 더 끈적끈적해지기 때문에 습도를 평소보다 높여주면 가래가 묽어지는데 도움이 되죠. 가습기 사용 시 습기가 너무 차지 않게 환기는 정말 중요합니다.
˙ 기침도 도움이 됩니다.
기침이 나쁜 것만은 아닙니다. 기침을 또 억지로 참으면 안 돼요. 기침은 호흡기에 나쁜 것이 있을 때 그 나쁜 것을 배출하기 위해 하는 것이기에 그러므로 기침 자체는 우리 몸에 필요한 행동이에요. 또 기침을 하면 가래가 많을 때 가래가 더 잘 배출된다고 해요.
* 주의해야 할 점
가래와 기침이 많다고 함부로 종합감기약을 먹이면 안 돼요. 잘못하면 가래를 더 끈적이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에요. 반드시 의사 처방을 받으셔야 합니다.
'육아 > 육아 필수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기에 대해 궁금한 것들 2 (0) | 2021.03.31 |
---|---|
감기에 대해 궁금한 것들 1 (0) | 2021.03.30 |
아이 반찬 참치계란전 (0) | 2021.03.29 |
아이가 경련 시 주의할 점 (0) | 2021.03.29 |
임신 중기 건강 관리 (0) | 2021.03.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