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감기에 대해 궁금한 것들 1

vuta 발행일 : 2021-03-30
반응형

감기에 대해 엄마 아빠가 궁금해하시는 것들을 정리해봤습니다.

 

1. 아이가 감기에 걸렸는데 예방접종은 가능할까요?

미열이 있어도 예방접종은 가능하긴 해요. 하지만 감기에 걸린 상태라면 소아과 의사 선생님과 상의하시는 것이 좋은데 심한 감기가 아니라면 보통 접종해줄 거예요. 감기에 걸렸을 때 접종을 하면 부작용이 생길 거라는 불안감을 가지고 계시는 엄마들도 더러 있는데 감기에 걸렸을 때 예방접종을 했다고 해서 부작용이 더 증가하는 것은 아니니 너무 걱정 마시고 상의 후에 판단하시면 돼요. 그리고 종합병원보다 소아과에서 예방접종을 권해요. 종합병원에 아이들이 병문안 오는 것도 금지하고 있는 곳도 있다고 하니까요.

 

2. 어차피 소아과 가면 체온 재주는데 집에서는 왜 재야 하나요?

열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르락내리락할 수 있기 때문에 열이 올랐을 때 집에서도 채온을 재주는 것이 좋아요. 집 밖에 온도나 바람의 영향에 따라 소아과 방문 시 체온이 다르게 나올 수 있기 때문이에요. 

 

3. 어떤 분은 감기는 심하지 않으면 치료할 필요가 없다고 하는데 맞나요?

공기 좋은 나라라면 가능할 수 있어요. 하지만 안타깝게도 우리나라는 공기가 매우 좋지 않죠. 특히 황사가 찾아오는 봄에는.. 또 사계절 내내 바람이 세게 불지 않는 이상 미세 먼진 친구처럼 늘 같이 있죠. 그렇기에 가만히 놔두면 더 커질 수 있어요. 그냥 봤을 때 별 증상이 없어 보인다고 하더라도 소아과에 진료를 보는 것이 좋아요. 우리나라 아이들의 감기는 한 달씩 가는 경우도 흔하니까요.

 

4. 감기 치료 중 귀가 아프다고 해요. 왜 그런 거죠?

콧물이 많았고 제대로 후처치를 해주지 않으면 압으로 인해 물이 차 중이염이 생기게 돼요. 그러니 항상 소아과에 진료를 보러 갈 때는 귀를 봐달라고 해야 하죠. 보통 귀도 잘 봐주시긴 하는데 안 그러신 분들도 계시더라고요. 그러니 엄마 아빠는 신경 써서 진료과정도 눈여겨 봐주셔야 해요. 중이염에 걸린 아이는 이비인후과보다 소아과 진료를 보시는 것이 좋아요.

 

 

 

5. 감기약을 복용 중인데 식은땀은 왜 나는 것일까요?

감기에 걸려 열이 나면 우리 몸은 열을 떨어트리기 위해 땀을 만들어 배출하게 돼있어요. 그러니 해열제를 먹으면 열이 떨어지면서 남은 열은 일시적으로 식은땀으로 배출이 되죠. 또 감기에 걸리면 땀 조절 기능이 일시적으로 이상이 생겨 식은땀이 생길 수도 있지만 몸이 허해서, 약이 독해서 나는 것은 아니에요.

 

6. 아이의 감기가 너무 오래 가요. 알레르기 때문이라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반려견, 반려묘 등 애완동물을 키우시는 것은 피하시고 집 청소에 정말 신경을 많이 쓰셔야 해요. 특히 장롱 위나 소파 아래 같이 먼지가 눈에 잘 안 보이는 곳도 신경 써주셔야 해요. 털이 많은 인형이나 메밀 베개도 피하시는 것이 좋고, 요리하실 때 가스레인지 사용 시 꼭 후드를 사용하세요. 질소 산화물이 호흡기에 많이 해롭기 때문이라고 해요. 냄새는 나지 않지만 해롭다고 하니 지켜주시는 것이 좋아요. 그리고 알레르기에는 특효약이 따로 없으니 민간요법보다는 의사의 처방을 받으시는 것이 좋다고 해요.

 

 

7. 목이 부어 열이 많이 나는데 목에 직접적으로 처치할 수 있는 것이 있을까요?

목이 부어 목감기라고 불리는데 인두염은 전신적인 질환이고 바이러스성 질환이기 때문에 목에다 소독약을 뿌려도 소용이 없다고 해요. 옛날에는 목에다 마취제를 뿌리기도 했다고 하는데 이 방법은 현재 쓰지 않는데 이유는 마취제를 뿌린 그 순간은 목이 안 아파서 좋지만 사래가 들기 쉬워 흡입성 폐렴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해요.

 

8. 감기 빨리 낫게 주사 놔주세요.

주사는 꼭 필요할 경우에만 놓는 것이라고 해요. 주사를 맞는다고 감기가 빨리 낫는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간혹 소아과 방문할 때마다 주사 놔달라고 하시는 엄마 아빠도 있는데 주사를 맞으면 아이가 아프다고 해요. 주사를 맞을 필요가 없는데도 주사를 놓게 된다면 그것은 아이에게 고문을 하는 것과 같다고 합니다.

반응형

'육아 > 육아 필수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 8개월 증상  (0) 2021.03.31
감기에 대해 궁금한 것들 2  (0) 2021.03.31
가래는 꼭 뱉어야 할까?  (0) 2021.03.30
아이 반찬 참치계란전  (0) 2021.03.29
아이가 경련 시 주의할 점  (0) 2021.03.2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