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련일 때 대처 법

vuta 발행일 : 2021-03-28
반응형

경련은 경기라고도 불리고 이것은 아이가 의식을 잃고 몸의 일부가 이상한 움직임을 보이는 것을 말해요. 경련은 특별한 이유 없이 생기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아이들이 하는 경련은 대부분 열이 심해서 나타나는 열성 경련이에요. 다만 열이 있을 때 경련과 열이 없을 때 경련은 차이가 크다고 해요.

아이가 열성 경련을 할 때 대처법

 

˙ 당황하지 마시고 침착하세요.

아기가 경련을 하면 일단 침착하셔야 해요. 아이를 키우다 보면 겪을 수 있는 일이니 절대로 당황하지 마세요. 열성경련은 보통 15분 정도 합니다. 경기를 오래 한다고 아기가 숨 막혀 죽는 일은 없다고 하고 일시적으로 하는 것일 뿐이니 놀라지 마세요. 아기가 열성 경련을 하면 일단 아기를 눕히고 옷을 벗기고 편안한 자세를 취해준 다음 옆에서 지켜봐 주세요. 이때 손, 발이 탁탁 움직인다고 해서 잡는 행동은 하지 마세요. 또 입술이 파래진다고 해서 호흡곤란이다 생각하고 인공호흡도 안돼요. 아무것도 하지 마세요. 다만 아이가 경련을 일으키다 토를 할 때 옆으로 고개를 돌려서 토한 것이 숨을 막지 못하게만 해주세요. 또 음식을 먹다가 경련을 일으켰다면 입안에 있는 음식물은 빼주세요. 또 열이 너무 심하다면 미지근한 물을 적신 손수건으로 아이 몸을 닦아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 경기를 어떻게 하는지 관찰하세요.

열은 얼마나 올랐는지, 눈은 어떻게 돌아가고 손발은 어떻게 떠는지, 몇 분간 경기를 하는지 등을 파악하셔야 나중에 원인을 밝히는 데 중요한 도움이 돼요. 15분 이상 경기를 했다면 다른 원인이 있을 수 있으니 의사와 상담하시는 것이 좋아요.

 

˙ 보통 5분 이상 경련이 멋지 않으면 병원에 가세요.

경련을 하고 있는 아이를 안고 뛰다가 넘어질 수 있으니 머리를 잘 받쳐 조심히 이동하시는 것이 좋아요. 그런데 소아과 진료를 받고 있다고 해서 경련이 없다고 할 순 없어요. 갑자기 고열이 나면 발생할 수 있고 경련을 경험했던 아이라면 더욱더 지켜보셔야 해요. 열이 난다 싶으면 해열제를 먹이고 그래도 열이 떨어지지 않는다면 물수건으로 아기 몸을 닦아 주는 것이 좋아요. 

 

˙ 경기를 한다고 머리가 나빠지진 않아요.

아기가 경기를 몇 번하고 나면 걱정되죠. 그러나 안심하셔도 됩니다. 어찌 보면 흔한 병이기에 엄마가 미리 숙지하고 계신다면 별 문제없는 병이니까요.

 

 

열성 경련을 한 후에는

열성 경련을 한 후에는 정말 잠을 잘 잔다고 해요. 정말 자고 있는지 의심스러울 정도로요. 그러니 축 늘어져있다고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그냥 잠을 자고 있는 것뿐이니까요.

 

경련 시 바로 병원에 가야 하는 경우

˙ 열 없이 경련할 때

˙ 다친 후에 경련할 때

˙ 열날 때 경련이 5분 이상 지속될 때

˙ 열날 때 경련 중 15초 이상 숨을 멈출 때

˙ 경련이 여러 차례 반복될 때

˙ 몸의 한 부분이 경련을 일으킬 때

˙ 15분 이상 경련을 할 때

˙ 경련을 24시간 내에 2번 할 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