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이가 열이 날 때 / 열이 안 떨어질 때

vuta 발행일 : 2021-03-08
반응형

갑자기 열이 나요! 열이 안 떨어져요!

당황하지 마시고 이 글을 확인하세요!

 

 

 

- 아이가 열이 나는 이유는 보통 감기에 걸렸기 때문이다 - 

아기가 열이 나는 이유는 보통 아이가 감기에 걸렸기 때문입니다.

목이 아프고 열이 나고 기침과 콧물이 나오면 여러분들이 다 아시는 것처럼 감기에 걸린 것입니다. 하지만 열감기라는 것이 그리 간단한 것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열이 나는 소위 열감기라 불리는 것들 중에는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나중에 심장이나 콩팥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 것들도 있습니다. 아이가 감기 증상을 보이면서 열이 많이 날 때는 소아과 의사의 진료를 받고 치료를 하는 것이 좋은데, 경우에 따라서는 항생제 치료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단 항생제를 투약받으셨다면 의사의 지시대로 약을 다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갑자기 열이 날 때의 응급처치법 / 열이 안 떨어질 때 방법

 

한밤 중에 아이가 갑자기 열이 난다면 어느 부모나 마찬가지로 당황할 것입니다

일단은 먼저 체온을 재서 열이 얼마나 나는지 확인을 해야 합니다

37.6도에서 38도 이하이라면 열이  있다고 생각하고 아이의 옷을 가볍게 입히거나 벗기는 게 좋습니다

그래도 열이 내려가지 않고 오히려 38도 이상으로 올랐다면 옷을 완전히 벗기고 미지근한 물로 손수건을 적셔 닦아줍니다

 

 

*열날 때 물로 닦으면 감기가 심해지지 않을까?

열이 난다고 옷을 벗기고 손수건에 미지근한 물을 적셔 온 몸에 닦아 줄 때 간혹 아이들이 춥다고 덜덜 떠는 경우가 있습니다 실제로 그렇죠
그러면 "어? 감기가 더 심해지는 거 아닐까?"하고 걱정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답은 "걱정하지 마세요"입니다
간혹 추워하기에 옷을 입혀주는 경우는 열이 올라가는 초기에 가능한 일입니다
열이 많이 올라가면 더 이상 추워하지 않게 되고 그 상태에서 물로 닦아주면 추워지게 되겠죠 그러나 이때는 추워하더라도 열을 내리는 게 중요하니 열이 충분히 떨어질 때까지 닦아 주는 것이 좋습니다 열이 충분히 떨어지면 그 후에는 그다지 추워하지 않게 됩니다 그러나 아이가 너무 힘들어한다면 물로 닦아주는 것을 중지하십시오.

 

 

 

* 열날 때 물수건 사용방법

아기의 체온이 38도 이상이라면,
1. 해열제를 사용해도 2시간~4시간 이내에 열이 떨어지지 않는 경우에 물수건을 사용합니다
2. 해열제를 사용한 지 30분이 지난 후에 우선 옷을 다 벗기고 (저는 기저귀까지는 벗기지 않았지만 벗기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3. 30도 정도의 미지근한 물을 수건에 묻혀서, (찬물은 오히려 역효과가 납니다)
4. 물이 뚝뚝 떨어지게 해서 (꼭 짜지 마세요 그렇다고 너무 질질 흐르게도 마세요)
5. 온몸을(이마, 목, 가슴, 배, 겨드랑이, 사타구니까지)
6. 약간 문지르는 느낌으로 열이 떨어질 때까지 쉬지 말고 계속 닦아야 합니다 (이때 물수건을 절대 덮어두지 마세요).
    30~45분 정도 계속 닦아주세요
7. 아이가 너무 추워하거나 힘들어한다면 잠시 중지하셔도 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