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이염 증상과 예방 법
˙중이염에 대해 먼저 알아봅시다
중이염이란 무엇일까요?
중이염은 감기에 걸렸을 때 합병증으로 잘 생기는데, 감기 치료 주에 아이가 귀가 아프다고 하는 경우도 흔하고, 치료 또한 10일 이상 오래 걸리는 병입니다. 중이염은 귀의 중이 부분에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 아이들의 경우 주로 감기를 치료하는 도중에 잘 생깁니다. 귀와 코는 유스타키안 튜브라고 하는 이관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 이관을 통해 코로 흡입된 여러 가지 잡균들이 귀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이것을 막기 위해 귀에서는 항상 물이 생겨서 이관을 통해 코로 흘러들어 갑니다. 그 흘러들어 가는 물에 균들이 씻겨 내려가 귀로 들어갈 수 없게 되는 것이지요. 그런데 감기나 비염에 걸리면 이관을 덮고 있는 점막에 염증이 생겨 이관이 막혔다 뚫렸다를 반복하게 됩니다. 이관이 막히면 물이 고이게 되고 고인물은 그 안에서 썩게 됩니다. 또한 이관이 막혀 귀안의 압력이 낮아지면 일시적으로 이관이 뚫릴 때 압력 차이가 생기기 때문에 코 안에 있는 코나 기타 잡균들이 귀로 빨려 들어가게 됩니다. 쉽게 이야기하면 중이염이 시작되는 것이지요.
˙아이들은 어른에 비해 중이염에 걸리기 쉽습니다.
이유는 이관의 길이가 어른보다 짧아서 귀로 균이 들어가기가 쉽기 때문입니다. 대게 중이염은 생후 3개월에서 3세 사이의 아이들이 가장 잘 걸리는데, 아무리 주의해도 3세까지는 상당수의 아이들이 한 번은 중이염에 걸린다고 보시면 됩니다. 크면서 몸의 면역성이 증가하고 이관의 모양과 기능이 좋아지면 중이염에 덜 걸리게 됩니다.
˙중이염을 줄이려면?
1. 우유병은 돌까지만
돌 지나서도 우유병을 열심히 빨면 이관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되어 중이염에 더 잘 걸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모유를 먹이면 중이염에 덜 걸린다고 합니다.
2. 공갈 젖꼭지도 너무 오래 빨면 안 돼
최근 연구 결과에 의하면 만 10개월이 지나서도 공갈 젖꼭지를 빨면 중이염에 걸릴 확률이 증가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6개월이 지나면 공갈 젖꼭지를 필요 이상 빨리지 않는 게 좋습니다.
3. 담배를 끊으십시오
집안에서 담배를 피우면 간접흡연으로 인하여 아이의 섬모운동이 둔화되기 때문에 그만큼 중이염에 잘 걸립니다.
4. 분유나 우유를 먹일 때는 반드시 안고 먹입니다.
분유를 먹일 때 눕혀서 먹이면 중이로 분유가 들어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분유를 먹일 때는 반쯤 앉은 자세로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5. 감기에 걸리면 걸리기 쉽습니다.
감기와 중이염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평소 손을 잘 씻고 양치질을 잘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6. 독감 예방접종도 중이염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독감에 걸리면 중이염도 생길 수 있으므로 예방 접종을 하면 훨씬 도움이 됩니다. 폐구군 예방접종도 많은 도움이 됩니다.
˙중이염의 증상은 어떤가요?
일단 아이가 중이염에 걸리면 열이 나면서 귀가 아플 수 있습니다. 또 소리가 잘 안 들릴 수 있고 심하면 염증이 터져 귀에서 고름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어린 아기는 아파도 아프다는 말을 못 하기 때문에 자꾸 울고 보채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아기들은 분유나 젖을 빨게 되면 귀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통증이 더 심해지기 때문에 조금 빨다가 보채고 울며 안 먹으려 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컵으로 주거나 숟가락으로 떠 먹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누우면 아프기 때문에 계속 안아달라고 보채기만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특히 밤에 더 심하다면 소아과 선생님께 반드시 말씀을 드리는 게 좋습니다.
'육아 > 육아 필수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가락 빠는 아이, 고치는 방법 (0) | 2021.03.11 |
---|---|
공갈 젖꼭지(쪽쪽이)의 장단점과 주의할 점 (0) | 2021.03.10 |
아이의 치아 관리와 양치질 방법 (0) | 2021.03.10 |
해열제 종류, 복용 간격, 용량, 지속 시간 (0) | 2021.03.08 |
아이가 열이 날 때 / 열이 안 떨어질 때 (0) | 2021.03.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