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걸음마와 보행기
아기 걸음마에 관해 알아보아요
우리 아기들은 다 때가 되면 기고 서고 걷기를 해요
아기 스스로가 자신의 고유한 리듬이 있어서 특별한 이상이 없다면
자연적으로 그 리듬에 맞게 성장하게 돼요
아기 두뇌가 좋으면 좋을수록 걸음마를 빨리 하는 것도 아니고
또 아기에게 걸음마 연습을 열심히 시켜준다고 해서 걸음마를 빨리 하는 것도 아니에요
무게에 따라서 또 두려움 공포가 있냐 없냐에 따라서
걸음마 시기가 늦춰지기도 빨라지기도 한다고 해요
가벼운 아기가 또 겁이 없는 아기가 더 빨리 걷고, 무게가 많이 나가고
또 겁이 많은 아이는 걷는 시기가 조금 더디다고 생각하시면 돼요
아기는 보통 걸음마는 언제 시작하게 될까요?
다리 근육이 튼튼해서 빨리 걷는 것도 아니라고 해요
아이의 머리가 발달해서 다리나 허리의 근육을 잘 조절할 수 있게 되면
걸음마를 할 수 있다고 해요
아이마다 걷는 시기가 다 달라서 평균을 내기가 어렵지만 빠르면 8개월에서 늦으면
18개월까지 못 걷는 아이가 있다고 해요
18개월인데 아직 걷지 못한다고 해서
아이가 뒤떨어진 것은 아닐까 걱정하실 수도 있지만 괜찮아요
하지만 아기가 생후 5개월인데도 고개를 못 가누는 경우나
생후 9개월인데도 혼자서 못 앉는 경우,
그리고 생후 15개월에도 못 걷는 경우라면 소아과에 문의해보는 것이 좋다고 해요
*생후 18개월인데도 걷는 게 늦어 걱정이시라고요?
겁이 많아서, 익숙하지 않아서 등등 여러 가지 이유로 걸음마가 늦어지기는 하나, 잘 못 걷는다고 해서 무조건 다리뼈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라고 해요하지만 이유, 원인을 파악하려면 소아과에 문의를 해보는 게 좋아요 혹시 아주 만약에 혹여나, 뇌성 마비 때문에 걸음마가 늦어지는 것이라면 진단 시기가 빠르면 빠를수록 치료 효과가 좋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만약에 15개월이 되어도 잘 걷지 못한다면 소아과에 문의해보는 것도 좋다고 해요
걸음마를 너무 빨리해도 걱정이시죠.
˙ 아기 혼자 스스로 걸을 수 있다면 아기가 일찍 걸어서 문제가 되지는 않아요.
걸음마가 늦어질수록 또 걸음마가 너무 빨라도 걱정이죠
허리에 문제나 다리가 휠 것 같다는 걱정을 많이 하게 되는데요
아기가 혼자서 스스로 걸음마를 하게 될 정도라면
허리와 다리 주변의 근육이 어느 정도 발달해야 가능하다고 해요
그렇기에 딱히 문제가 되진 않는다고 해요
간혹 너무 빨리 걸음마를 시작해서 넘어지거나 엉덩방아를 찧으면
혹시나 뼈에 문제가 생기지 않을까 걱정하시기도 하는데요
그런 건 또 걱정 안 하셔도 돼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해요
˙ 걸음마 연습을 억지로 시키는 건 잘못된 행동이에요
엄마 욕심으로 아기를 키워서는 안 돼요.
일찍 걷게 하고 싶어 연습을 시키는 행동은 위험할 수 있어요
아기 스스로 걸음마할 능력이 안되는데 엄마 욕심으로 오랫동안 걸음마를 강요한다면
다리가 휘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고
아기의 성장 발달에 문제가 되기도 하니 조심하도록 해요
아기의 걸음마를 도울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안타깝게도 그런 방법은 없다고 보시면 돼요.
다시 정확히 말씀드리자면 그런 방법 자체가 필요 없다고 해야겠지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아기들은 자연적으로 자신의 발달 리듬을 따라
걸음마가 빨라지기도 늦어지기도 하니까요
걸음마를 연습시킨다고 해서 빨라지는 것은 아니니 자제해주세요
하지만 스스로 걸음마를 하게 만드는 동기를 부여해주는 것은 괜찮아요
아기가 걸음마를 배우게 되면 좋은 점을 느끼게 해 주어
걸음마에 흥미를 가질 수 있게 만드는 것도 방법이에요
까치발로 걷는 아기
아기가 보행기에 탔을 때 까치발로 걷는 것을 보시고 놀라시는 경우가 종종 있지요
이렇듯 까치발로 걷는 아기들이 의외로 많은데요 일단은 소아과에 문의해보시는 게 좋아요
까치발로만 걷는다면 문제가 되지만 하지만 대부분 문제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해요
그런데 문의해보시라고 한 이유는 혹시나 운동 장애가 있다던지
근육에 이상이 있어 까치발로 걷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에요 뇌성 마비도 그중 하나예요
그러니 아이가 놀 때 걸을 때 어떨 때 까치발을 하는지 잘 유심히 관찰해보시는 게 좋아요
하지만 대부분 습관이나 재미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해요
단 아기의 몸이 지나치게 긴장되고 뻣뻣한 경우라면 의심해볼 수는 있어요
보행기는 태우는 것이 좋을까요?
보행기는 태워야 하는 것일까요? 대부분의 엄마들은 보행기 태우는 게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시죠
또 걸음마를 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시는 엄마도 많아요
하지만 필수적인 것은 아니에요
또 집에 턱이 있거나 계단이 있다면 사용하지 말라 말씀드리고 싶어요
보행기를 사용하는 시기에 대해
˙ 생후 6~8개월 이전에는 보행기를 사용하지 않는 게 좋아요
생후 8개월 된 아기라도 혼자 스스로 앉기를 힘들어하기도 해요
이런 아이의 경우 보행기에 앉히게 되면 아기의 몸에 무리가 돼서 좋지 않아요
보행기 사용을 권장하지는 않지만 살림을 할 때나 상황에 따라 꼭 태워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면
허리를 잘 가눠 잘 앉을 수 있을 때 보행기를 태우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 보행기를 언제까지 태워야 하나요?
아기들은 보행기를 탄다고 해서 걸음마를 빨리하고 그러진 않아요
걸음마랑 상관없이 보행기를 태울 것인가 아닌가를 정하신다고 생각하시면 돼요
아기들은 대개 혼자 잘 걷게 되면 보행기를 안 타려고 해요
그래서 이 부분은 크게 고민할 필요가 없어요
보행기를 사용하면 걸음마를 일찍 배울까요?
보행기를 태운다고 해서 걸음마 시기가 빨라지는 것은 아니에요
오히려 보행기를 오래 타는 아이일수록 걸음마가 늦어지는 경우도 있다고 하는데요
이유는 아이가 자기 스스로 걸으려 하지 않아도 걷기 때문이에요
정말 걸음마에 도움이 되는 것은 차라리 밀고 다니는 보행기구가 낫다고 해요
보행기를 태울 때 주의해야 할 점
보행기의 높이가 아기의 다리가 질질 끌릴 정도로 낮다면 위험해요
아기의 다리에 무리를 줄 수 있고 앉는 자세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에요
˙ 아기가 보행기를 타면 행동반경이 넓어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해요
보행기를 타게 되면 행동 방경이 옆으로만 커지는 것이 아니라 높이도 커지게 돼요
그만 틈 아기의 손이 닿는 범위가 넓어지면서
할 수 있는 문제들이 생기니 미리 염두해 주시는 게 좋아요
˙ 보행기를 타면 아기의 행동 속도가 많이 빨라져요
아주 잠깐 한눈팔면 아기는 엄마의 손이 닿는 범위를 벗어나 사고를 일으키게 돼요
보행기에 태우더라도 되도록이면 아이에게 눈을 떼지 않는 게 좋아요
'육아 > 육아 필수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염 증상 원인 대처 법 (0) | 2021.03.12 |
---|---|
어린이집 첫 등원 적응 방법 (0) | 2021.03.12 |
육아, 죄책감 (0) | 2021.03.11 |
손가락 빠는 아이, 고치는 방법 (0) | 2021.03.11 |
공갈 젖꼭지(쪽쪽이)의 장단점과 주의할 점 (0) | 2021.03.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