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염 증상 원인 대처 법
장염이란?
장에 염증을 일으키는 병으로서, 바이러스성 장염과 세균성 장염이 있어요
아이들에게 생기는 장염은 대부분 바이러스성이고, 그중에서 가장 알려진 것이 가성 콜레라예요
가성 콜레라는 로타 바이러스라의 이름의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병인데요
최근 몇 년 사이 가성 콜레라가 현저하게 감소하고 있는 추세라고 해요
아마도 위생 상태가 좋아졌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고 하네요
저는 흔한 가성 콜레라를 대표로 장염에 대해 설명해 보도록 할게요
장염은 어떤 증상이 나타날까요?
1. 열이 나고, 구토와 설사가 있습니다
장염의 대표주자인 콜레라에 걸리면 먼저 열이 나기 시작해요
아주 심하면 열 경련도 일으키기도 하고 토도 하기 시작하는데요
토할 때 심하면 물도 토해서 아이가 쳐질 수 있어요
열이 나고 토를 하는 기간은 보통 2~3일 정도 있고
그 후에는 토하는 것이 줄면서 설사를 하기도 한다고 해요
별 문제가 없다면 일주일 정도 지나면서 상태가 좋아지긴 해요
2. 초기에는 열감기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기도 하는데요
간혹 열감기로 인식하고 진단을 내리기도 하지만
콜레라는 바이러스성 질환이기 때문에 증상에 따른 치료를 하게 되므로
전혀 다른 치료를 하는 것은 아니니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해요
장염은 점염 성이기 때문에 예방이 중요해요
1. 예방을 위해서는 손을 자주 씻고 환경을 깨끗이 해야 해요
장염이 걸리는 원인은 주로 바이러스와 세균이 일으키는데
장염균이 묻은 손을 입에 넣거나, 음식을 먹거나 했을 때 장염에 걸리게 돼요
또 공기 중에 날아다니다가 전염이 되는 경우도 있는데요
그래서 손을 자주 씻고 환경을 깨끗하게 해주는 것이 중요해요
특히 기저귀를 간 후에는 엄마 아빠도 비누로 잘 씻어주는 것도 중요한데요
이는 엄마 아빠의 손을 통해 사방으로 장염균이 퍼질 수 있기 때문이에요
또 혹시나 옷에도 장염균이 묻어있을 수 있으니 따로 세탁을 권장합니다
살균소독제를 사용하는 것도 좋아요
2.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은 쉬세요
장염은 전염성이 있기 때문에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은 쉬는 게 좋아요
불가피한 경우에는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선생님과 상의하셔서
따로 혼자 방에서 놀게 하는 방법도 있어요
장염에 걸려 열과 토를 할 때
장염은 특별한 치료법은 없어요 그렇다고 치료를 할 방법이 없다는 것이 아니라
아기의 증상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하라는 뜻이에요
1. 열이 날 때는 이렇게 해주세요
열이 심하다면 해열제를 먹여서 열을 떨어트려야 해요.
생후 6개월 이전의 아기라면 부루펜시럽보다 타이레놀 시럽을 권장해요
만약 토를 하는 아이라서 해열제를 토해낸다면 좌약을 추천합니다.
해열제만으로도 열이 떨어지진 않을 거예요
그럴 땐 옷을 벗기고 시원하게 해 주시고 그래도 안 떨어진다면
미지근한 물을 적혀 꽉 짜지 마시고 몸을 닦아주세요
2. 토할 때는 이렇게 해주세요
˙ 엄마가 놀란 모습을 보면 아이는 더 불안해해요
토를 하기 시작하면 무엇을 먹더라도 토할 수 있어요. 이때 놀라지 마세요
엄마가 놀란 모습을 본다면 아이가 아픈 데다가 겁까지 먹게 될 수도 있어요.
˙ 아이가 너무 심하게 토한다면 응급실에 가야 할 수도 있어요
피가 섞인 채 토하거나 토한 것이 노랗거나 초록색을 띄었을 경우, 또 배가 심하게 아파할 경우
서둘러 응급실로 가야 해요.
언제 응급실에 가야 하나요?
1. 설사에 피가 섞였을 때
2. 설사하면서 복통이 심할 때 : 특히 2시간 이상 복통이 지속되는 경우
3. 설사를 자주 할 때 : 8시간 사이 8번 이상 물 설사를 하는 경우
4. 설사로 인해 탈수가 왔을 때 :
1세 이하의 아기가 8시간 이상 소변을 보지 않거나,
1세가 넘은 아이가 12시간 이상 소변을 보지 않는 경우,
입술이 마르거나 눈이 쏙 들어가고 울어도 눈물이 나오지 않는 경우,
피부가 차고 축축해 보이는 경우
5. 매우 아파 보이거나 축 처지거나 깨워도 반응이 없을 때 :
6. 생후 3개월도 안된 아기가 열이 나고 설사를 할 때
3. 토할 때 어떻게 먹이는 게 좋을까요?
˙ 1세 이전의 분유 먹는 아기라면
처방받은 전해질 용액을 먹일 수 있어요
이때 아기가 잘 먹는다고 한꺼번에 주시지 마시고
한 스푼 정도를 10분 간격으로 나눠먹을 것을 권해요
8~12시간 정도 토하지 않고 설사도 하지 않는다면 분유를 다시 먹일 수 있고
이유식을 하던 아기라면 다시 원래대로 먹일 수 있어요
˙ 모유를 먹는 아기라면
아기가 토를 하더라도 모유는 먹일 수 있지만 원래 양만큼 먹인다면 또 토를 할 수 있어요
토를 심하지 않게 한다면 1~2시간 간격으로 짧게 조금씩 5분 이내로 먹이시고
토를 심하게 한다면 30분에서 한 시간 간격으로 2~3분 이내 먹이는 것이 좋아요
그러나 모유를 먹지 않으려고 하는 아기일 경우 전해질 용액을 주셔도 돼요
8~12시간 정도 토를 하지 않는다면 원래대로 다시 주셔도 되고
이유식을 먹이는 아기라면 다시 원래대로 먹일 수 있어요
˙ 유아식을 먹는 아이라면
토를 심하게 하지 않을 때는 전해질 용액을 먹여도 되고,
원래 먹던 식단에서 조금 묽게 해 주시는 게 좋아요
하지만 우유나 요구르트 같은 유제품은 한동안은 피하시는 게 좋아요
토를 심하게 할 때는 10분 간격으로 15cc 정도 먹이다가
토를 3~4시간 정도 하지 않는다면 서서히 양을 늘려나가도 좋고
8~12시간 정도 토를 하지 않는다면 이제는 부드럽고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을 먹일 수 있어요
고깃국도 좋은데요 고기 속에 들어 있는 지방은 장을 진정시켜주기 때문에 좋아요
단 살코기만 사용해야 합니다
서서히 밥을 주셔도 되는데 하루 이틀 다른 문제가 없다면 밥과 함께 다른 음식도 먹일 수 있어요
다만 너무 기름지고 찬 음식이나 너무 단 과일은 초기에는 피하는 게 좋아요
장염에 걸려 설사를 할 때
1. 설사가 심하지 않을 때는 이렇게 해주세요.
이럴 경우에는 평소 먹이던 식으로 주시면 돼요
다만 너무 기름진 음식이나 너무 단 음식은 피하시는 게 좋아요
너무 단 음식은 설사를 심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에요
2. 설사가 심할 때는 이렇게 해주세요.
처음 8시간 정도는 음식을 조절해주는 것이 좋지만 24시간 이상 음식을 제한 하진 않아요
소아과 진료를 꼭 받으시고 지금부터 말씀드리는 것은 집에서 주의사항이오니 지켜주세요
˙ 수분 공급이 중요해요
설사가 심할 때는 탈수가 올 수 있으므로 수분 공급이 중요해요
설사가 심할 때 수분 보충 방법으로는
경구용 포도당 전해질 용액을 먹이는 것이 좋아요
그런데 맛이 없어 잘 안 먹으려던 아이도 탈수가 너무 심한 상태에서는
그 맛없는 전해질 용액도 잘 먹게 되는 경우도 있으니 다시 한번 시도해보세요
˙ 수분 보충으로는 전해질 용액이 제일 좋아요
전해질 용액을 먹이고 대충 8시간 정도 지나 어느 정도 탈수가 좋아졌다면
이유식을 먹는 아기는 쌀미음이 좋아요
하지만 그렇다고 설사를 한다고 해서 흰 죽을 며칠이고 계속 먹이는 것은 안 돼요
˙ 설사를 한다고 모유를 끊으면 안 돼요
정확히 설사인지는 소아과 선생님께 문의하시는 게 좋아요
설사를 찍은 사진을 보여주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에요
˙ 분유는 일시적으로 중단할 수는 있어요
경구용 포도당 전해질 용액을 먹이는 것이 좋아요
일반적으로 급성기만 지나면 다시 분유를 먹일 수 있는데요
상태에 따른 정확한 진단은 소아과 선생님과 상의하시는 것이 좋아요
˙ 너무 오랫동안 식사 제한은 안돼요
전해질 용액이나 죽을 먹인 후 8시간 정도 지나고 탈수 증세가 좋아지면
다른 음식을 먹일 수 있는데요
급성기만 지나면 웬만하면 먹이던 음식 먹이는 것이 좋아요
단 너무 기름진 음식, 찬 음식은 안돼요
* 설사약을 처방전 없이 주지 마세요
이런 약들은 아픈 장을 더 아프게 만들 수 있어요
소아과 처방 없이 함부로 주게 되면 더 큰일이 생길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3. 장염 치료 후에도 설사가 멎지 않아요
간혹 아이가 장염을 앓은 후에 계속해서 설사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장염 때문에 손상을 입은 장이 분유에 있는 유당을 제대로 소화시키지 못하고
설사를 계속하게 되는 경우인데요
유당 불내성 때문이거나, 장염이 완전히 낫지 않았거나, 우유 알레르기 때문일 수도 있어요
유당 불내성의 경우는
장염을 앓고 난 후 특히 가성 콜레라를 앓고 난 후에 1~2주 정도 나타날 수 있는데요
드물게 오래가면 수개월이 걸리기도 해요
하지만 그렇다고 평생 가는 것은 아니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돼요
아이가 성장하면서 장도 면역성도 완성이 되어가면서 유당 불내성도 서서히 사라지게 될 거예요
그런데 혹시나 걱정이 되신다면 소아과 방문하셔서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도 좋아요
특수분유를 간혹 처방해주시기도 하는데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먹이지 마세요
특수분유는 시작은 쉽지만 끊는 게 어렵다고 합니다
그러다 계속 특수분유만 먹이시는 엄마 아빠도 있거든요
특수분유는 필요성이 사라지만 바로 끊는 것이 좋아요
'육아 > 육아 필수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가 이를 가나요? (0) | 2021.03.13 |
---|---|
둘째를 고민하고 계시나요? (0) | 2021.03.13 |
어린이집 첫 등원 적응 방법 (0) | 2021.03.12 |
아이 걸음마와 보행기 (0) | 2021.03.12 |
육아, 죄책감 (0) | 2021.03.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