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흥청망청의 어원은 연산군?

vuta 발행일 : 2019-08-03
반응형

안녕하세요. 94매주기 역사시간입니다.
여러분은 평소에 '흥청망청'이라는 단어 자주 사용하시나요? 흥에겨워 마음대로 즐기는 모양, 돈이나 물건따위를 마구 쓰는 모양 이라는 사전적의미를 가진 부사인 '흥청망청'. 저는 부모님들께 하도 흥청망청 논다, 흥청망청 쓰지 말아라 라는 이야기를 많이 듣다보니 자연스럽게 흥청망청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게 되더라구요 여러분도 그렇지 않으신가요? ㅋㅋ

흥청망청이라는 단어가 역사와 무슨 관계가 있는냐는 의문점을 가지실 수 있는데 '흥청망청'의 어원을 찾으려면 연산군시대로 거슬러올라가야합니다.

전국에 춤과 노래를 잘 하는 미녀들을 불러모으거라

연산군은 춤과 노래를 무척이나 좋아했습니다. '음악을 들으면 혈기가 화창해지고 정신이 안정된다'라고 말할 만큼말이죠. 너무 좋아한나머지 노래와 춤을 좀 더 즐겁게 즐기기위해 하나의 명령을 내렸는데요. 전국에서 춤과 노래를 잘 하는 여자들을 모아오라는 명령이었습니다.

춤, 노래, 끼, 미모까지 4박자가 모두 갖춰진 300명의 여성들을 뽑아 더러움을 씻어내는 즐거움이라는 뜻의 '흥청' 이라고 칭했고, 흥청보다 재주가 떨어지는 기녀들 700명은 태평한 시대를 만난 행운이라는 뜻의 '운평'이라 부르며 궐에 두고는 노래하고 춤추게 했다고합니다.

처음에는 처녀들만 선발하여 데려갔지만 후에는 사대부의 첩, 양인의 아내와 딸, 노비, 창기등을 가리지않고 미모와 노래, 춤실력이 뛰어나다고 하면 뽑아서 데려갔고. 한 순간 아내, 엄마를 잃은 남편과 아이들은 대성통곡을 했습니다.

*흥청과 운평 뿐 아니라 계평, 채홍, 속평등 더 많은 등급을 두어 관리하였고 흥청중에서도 연산군을 성(性)적으로 만족시켜준 흥청을 천과흥청, 연산군과 잠자리를 가지지 않은 흥청을 지과흥청, 연산군과 잠자리를 가졌지만 만족시키지 못한 흥청을 반천흥청이라 하여 관리했다고합니다.

완벽하고 또 완벽해야한다

연산군은 '완벽'이야말로 아름다움의 끝이라고 생각 했던 것 일까요. 흥청들이 모든 방면에서 완벽하기를 바랐고 조금이라도 흐트러진 모습을 보인다면 곤장을 치는 등 벌했습니다. 틀린 노래가사의 갯수만큼 곤장을 치고, 화장을 제대로 하고다니지 않아도 벌하였으며 심지어 땀냄새가 심하다는 문제로 흥청이던 사람을 운평으로 강등시켰으니 말 다한거죠.

*연산군은 춤 중에서도 처용무를 좋아했는데. 춤동작이 제각각인 것이 불만이었던 연산군은 본인이 직접나서서 춤 동작을 수정하는 등 '완벽'을 추구했습니다.

나에게 즐거움을 줬으니 상을 내리노라

흥청들에게 완벽을 바라는 만큼 연산군은 흥청들에게 엄청난 특혜를 주게됩니다. 토지는 물론이고 몸종과 각종 사치품, 옷, 월급까지 모~든것을 지급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정도로 말이에요. 이 많은 것들이 다 어디서 나오느냐. 바로 백성들의 공납입니다.

때문에 흥청을 배출한 지역의 백성들은 날이 갈 수록 부담이 커졌고 그로인해 원망의 소리도 많이 나왔죠. 나라의 임금이라는 사람이 나라를 돌보지는 않고 유희만 즐기며, 백성들의 안위는 안중에도 없고 자신의 쾌락만 추구하니 얼마나 화가 났겠습니까.

노는 것을 좋아했던 연산군은 그 즐거움이 평생토록 갈 것 같았겠지만. 흥청의 존재는 반정의 좋은 명분이 되었습니다.

즐거움은 이제 끝! 내려와라 연산군

연산군 시대에 두 번의 사화를 겪으면서 훈구세력에게 밀린 사림파와, 일부 훈구세력이 결탁하여 연산군을 임금의 자리에서 끌어내리고 이복동생인 진성대군 '이역(중종)'을 왕으로 세우는 반정, '중종반정'이 일어나게됩니다.

날이 갈수록 부담이 커지는 공납으로 인해 백성들의 원성은 날이 갈 수록 커졌고, 민심이 등을 돌린 이 때를 노려 반정을 일으킨것이죠. 이렇게 영원할 것 같았던 연산군의 유희는 막을 내렸습니다.

중종반정에 의해 왕위에서 끌어내려진 연산군을 보고 백성들은 연산군이 흥청과 놀다가 망했다는 뜻으로 흥청망청이라고 했다고하며 이가 오늘날 쓰이는 단어 흥청망청의 어원입니다. 연산군과 관련된 영화 '간신'과 '왕의남자'를 보시면 어느정도 이해가 가실거라 생각해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