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HO 게임중독 질병지정(feat. 중독의 본래 의미)

vuta 발행일 : 2019-06-10
반응형

안녕하세요. 94 매우 주관적인 이야기, 94매주기 입니다.
세계 보건기구인 WHO에서 게임중독을 질병으로 지정하고 질병 코드(6C51)를 발급한 사실
알고 계신가요?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총회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되었다고 합니다.

여기서 알아두셔야 하는 점은 WHO의 게임중독 질병분류는 '권고사항'일 뿐 입니다.
국가가 받아드리지 않아도 문제가 없다는 말이에요 그런데 왜 여론이 시끄럽느냐
보건복지부 차관이 게임질병코드를 받아드리는 데에 긍정적인 쪽으로 발언했기 때문입니다.

이로인해 게임업계는 강력하게 반발했고, 대한민국 국민들의 여론도 그다지 좋지 않죠
'게임'은 한국인의 자존심 중에 하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정도로 즐겨하는 여가활동이기 때문이에요

결론을 먼저 말씀드리자면 찬반여론이 팽팽한 가운데 저는 찬성하는 입장입니다.
다른 질병들의 기준이 명확한 것 처럼 '게임중독' 이라는 질병의 기준도 '명확하게' 정립된다면 말이죠.제가 게임을 하지 않느냐? 아니요 게임 엄청 좋아합니다.

그런데 왜 찬성하는지를 말씀드리려면 먼저 '중독' 이라는 단어에 대해서 설명드릴 필요가 있는데요
중독이라는 단어가 일상생활에서 만연하게 사용되다보니 '중독'이 어느정도의 심각성을 가지고 이야기하는 것인지 감이 오지 않으실 거에요

'중독'의 사전적 의미를 찾아보면 음식물이나 약물의 독성에 의해 신체의 기능이 장애를 일으키는 일,알코올이나 약물(마약 등)따위를 지나치케 복용해 그 것 없이 견디지 못하는 병적인 상태, 어떤 사상이나 사물에 빠져 버려 정상적인 판단이 안되는 상태. 이렇게 세 가지의 의미가 있습니다.

정신의학의 관점에서 봤을 때 '중독'의 의미는 '건강 및 사회생활에 지장이 있을 것을 알면서도 계속해서 하고 싶은 욕구가 생기는 집착적 강박' 이라고 하네요. 정신의학에서는 본래 의학적 용어인 '중독'이 일상에서 상용되면서 오해의 소지가있어 '남용'과 '의존' 으로 나누어 정의합니다.

평균적인 1인 사용량보다 몇 배 이상을 한 번에 섭취, 사용 하는 것이 '남용'
내성이 생겨 사용해야 하는 양이 늘어나거나, 복용 또는 행동을 원하는 시간(텀 term)이 짧아지는 것이 '의존' 이며 정신질환으로 분류되는 '게임중독'이란 남용과 의존 중에 '의존'에 속한다고 할 수 있죠

WHO에서 제시한 게임중독의 기준을 한 번 볼까요?
1. 욕구를 참지 못하고 끝을 내지 못하는 경우
2. 일상생활보다 게임하는 것을 우선시 하는 행위
3. 게임때문에 문제가 생겨도 게임을 중단하지 못해서 문제를 일으키는 상태를 중독이라고 합니다. 

-94매주기(94년생의 매우 주관적인 이야기)
제가 찬성 한다고 말씀 드렸죠? 의미만 봤을 때 중독자체는 심각한 병이 맞아요. 세상의 모든 '중독'은
치료되어야 할 질병이 맞습니다. 하지만 그 기준이 명확해야 하지않겠습니까?

저는 한 가지에 꽂히면 계속 하고싶고, 끝을 봐야하는 성격입니다. 저 같은 분들 계실거에요
그럼 중독인가요? 봉사가 그렇다면 봉사중독이라서 치료받아야 하나요?

WHO의 중독기준을 보면서 한 가지 든 생각이 '종교' 입니다. 위의 중독기준에 종교를 대입 해 보세요
거짓말 처럼 다 말이 됩니다. 실제로 많이 일어나는 일 이기도 하구요, 게임때문에 일어나는 사건 사고보다 종교때문에 일어나는 사건사고가 훨씬 많은데 왜 질병으로 규제하지 않나요?

많이 나아졌다고는 하지만 기성세대 뿐 만 아니라 요즘 세대들을 포함해서 아직까지도 게임 자체를 부정적으로 보는 인식이 강하기 때문에 찬성의 의견이 많을 수 밖에 없습니다. 취미가 게임이라고 하면 병자취급하고 끊으라고하고 왜 그러는지 모르겠어요

게임 자체가 질병으로 여겨지는 것이 아니라 게임중독이 질병으로 분류되는 것 이지만 그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면 게임 자체를 규제하는 것과 다름 없습니다.

차라리 게임의 도박성을 가지고 규제가 들어왔다면 모르겠어요. 국내 pc, 스마트폰 게임을 통틀어서 게임의 사행성을 부정 할 수 있는 사람은 없을테니까요 그렇게되면 게임업계는 반박 할 논리가 없어지겠죠.

지금의 게임중독 기준은 너무 잘못 됐습니다. 물론 대한민국이 받아드리지 않으면 그만이지만
쓸 대 없는 것은 꼭 참 잘하는 대한민국이잖아요? 참.. 불안합니다.
흥미롭게 보셨다면 구독과 댓글 부탁드려요 큰 힘이 된답니다~

 

반응형

댓글